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조건

초록이랑 2023. 7. 24. 17:26

목차



    반응형

     

    청년 도약 계좌 illustrated by yoon sook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출시되었습니다.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일정비율의 정부기여금을 지원하고 이자 소득등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주고,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관련 정보사이트 참조

    금융 위원회 ->https://www.fsc.go.kr/no010101/80198

    서민금융진흥원->https://ylaccount.kinfa.or.kr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과 가입조건과 제한 

    가입 대상으로서는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는 만 19세~34세 청년이며, 2023년 기준으로 1989~2004년생이어야 합니다. 개인 소득과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 소득 6000만 원 이하는 정부 기여금이 적용이 되며,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개인 소득 6000만 원~7500만 원은 정부기여금 지원이 없으며 비과세만 적용이 됩니다. 단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 가입 제한:직전 3개년 도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이자 소득=배당소득) 합이 2000만 원 초과된 경우에 제한이 있습니다. 가구원은 원칙적으로 가입 신청자의 주민등록 등본에 기재된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를 기준으로 파난한다고 합니다. 1인 1 계좌를 원칙으로 하며 청년 희망 적금과 중복될 수없다고 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 kinfa.or.kr 

    (가구원판단 시 예외 사례등 가구 소득 확인 관련 세부 사항 문의)

     

    <서민 금융 진흥원 청년 도약 계좌 2023년 가입 신청 일자>

    가입 신청 일자: 2023.8/1~8/4, 8.7~8.11, 가입 심사 일자: 8/14, 8/18, 8/21~8/25, 8/28~9/1, 계좌 개설: 9/4~9/8, 9/11~9/15

     

    현 정부의 정책인 청년도약계좌 

    현 정부에서는  20 30 젊은 청년들에게 근로 의지와 희망을 실어주는 보탬이 되고자 2023년 6월 새로운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이름하여 청년 도약 계좌입니다. 2023년 6월 15일 개시되는 청년 도약계좌의 기간은 5년이며, 5년 만기로 매월 70만 원 한도에서 자유 납입하는 자유 적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현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청년의 중장기적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추진되어 왔습니다(국정과제 91), 청년들에게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을 위해 그간 관계부처 협의와 국회심의등을 거쳐  2023년 청년 도약 계좌 예산이 3,678억 원으로 편성되었으며, 청년 도약계좌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부과하기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및 동 시행령 개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청년 도약계좌에 가입을 하면 좋은 점

     

    높은 금리 시중 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받습니다. (연 6% 정도)
    비과세 비과세가 적용이 됩니다. (기여금+은행 이자에 대한 15.4% 세금 면제)
    정부 기여금 정부에서 기여금 명목의 보조금이 있습니다. (소득에 따라 3~6%이며 최대 2,4만원)
    자유 적립식 월1000원~ 7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가 있습니다. (만기시 최대 5000만원까지 모을수있습니다.)
    언제든지 해지 가능 언제든지 해지가 가능합니다.(해지시에는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고 15.4% 과세 적용이 됩니다)
      가입 신청 각 해당 은행 온라인 기타 영업점

     

    가입 신청 방법과 준비물

    청년 도약 계좌 신청방법은 그저께 은행에서 취급하는 앱을 통해서 영업일(오전 9시~오후 6시 30분)에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을 할 수가 있다고 합니다. 그외 해당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가입 시에는 비대면 본인 인증, 소득 확인등을 통해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단 만 34세 초과자의 군대 경력 인증 서류, 소득 심사 결과에 따른 이의 신청자 등의 경우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경남 은행등에서 신청을 받는다고 합니다.)

     

     

    소득에 따른 정부기여금 지급

    총급여 월 기여금 지급한도 납입 금액 기여금 매칭 비율 월 기여금 한도
    총금여기준 종합소득기준
    2,400만원 이하 1,600만원이하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이하 2,600만원이하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3,600만원이하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이하 4,800만원이하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이하 6,300만원이하 정부기여금이 없으며,비과세만 적용이 됩니다.

    기여금의 예시;개인 소득 월 2400만 원 이하일 때 기여금 지급 한도는 월 40만 원이 됩니다.  월 40만 원에 기여금 매칭 베율 6%를 곱하면 월 24000원의 기여금 즉 정부 지원금을 현금으로 준다는 뜻입니다.

     

     5년 후 만기 때 받을 금액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했을 때의 결과

    총급여기준 납입액 정부기여금 납입금액이자 기여금이자 총수령액 혜택금액 일반적금비교
    2400만원 이하 4200만원 144만원 640만원 16만원 5,000만원 800만원 8.86%
    3600만원이하 138만원 587만원 15만원 4,938만원 738만원 8.19%
    4800만원 이하 132만원 14만원 4,931만원 731만원 8.12%
    6000만원이하 126만원 13만원 4,924만원 724만원 8.05%
    7500만원 이하 .   4,787만원 587만원 6.50%

                                                                                    출처: 나무위키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 사이트 (금리 비교): https://portalkfb.or.kr

     

    청년 도약계좌와 주식투자의 비교

    청년 도약 계좌 안전하며 나와 가정과 사회를 믿음과 성실로서 지켜 나갈 수있다.돈의 소중함을 알고 점점 부를 쌓아 나간다.
    주식,코인 투자 시시각각 불안 요인들과 함께 해야 하며 돈을 벌은 사람들은 그만큼 씀씀이가 많아지며 부자와 거지가 되는 것은 아무도 장담 할 수없으며, 지옥과 천국을 오락 가락한다.

     

    마무리

     청년 도약 계좌는 열심히 살고자 노력하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에서 심혈을 기울여 만든 정책이니만큼 좋은 결과와 효과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은 한결같습니다.  앞으로 이 나라의 기둥이 되어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줄 청년들에게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뒷받침이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나라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다방면의 연결 고리가 튼튼하게 만들어져 활발하게 돌아가야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청소년들의 건강과 학교를 졸업하게 되면 당장 받아 주어야 할 일자리, 일을 하게 될 적성과 자격을 1인 1기 즉 최소한 하나씩 자격증을 따게 한다던지, 진로나 결혼을 위한 지도와 강연 등도 무료로 개최하고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도록 우리 정부와 사회는 늘 방법을 연구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